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물과 그림들 우리 나라 지폐
    카테고리 없음 2021. 7. 7. 09:58

    퀴즈 프로그램이었어!5년도 더 된 것 같아!만원짜리 뒷면 그림은 뭐지?한번도 궁금했던 적이 없었는데 그때부터 궁금했던 찾아보고 외웠어(다른데 가서 쓰려고!) 기억하고 어딘가 기록해두었다가 최근 파일정리하다 발견한 서툴러서 다시 한번 살펴보고 제대로 기록해두지 않으면…현용 은행권 국가경제 흐름의 중요한 매개체인 은행권 제조는 최신 인쇄시설을 보유한 화폐본부에서 인쇄, 검사 및 완성에 이르는 전 과정이 철저한 보안과 품질 및 계수의 확인하에 이루어지고 있다.우리나라 지폐의 액면체계는 [1,5]체계이며, 권종수는 70년대 초까지 8종(500,100,50,105,1원권 및 50,10전권)에 달했으나 점차 감소하여 현재는 4종(1,000,000)방지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역사상 처음으로 고액권인 오만원권이 발행된 바 있다.

    오만원(₩ 50,0 00)발행 일자:2009년 6월 23일 규격:154 x 68mm전면:신사 숲도 초상, 묵포도도 초충도 수병의 가지의 이면:월 메일도 풍쥬크도

    신사임당의 표준 영정은 현재 강릉시 오죽헌에 모시고 있지만 그 모습은 신사임당 생존 당시 16세기의 두발과 복식의 모습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오만원권에서는 화폐 도안용 측면화 영정을 새로 제작하고 사용한 이면은 한국 최초, 세로 방향으로 월매도와 풍쥬크도을 디자인한

    만원 (₩10,00 0) 발행일 : 2007년 1월 22일 규격 : 148 x 68mm 앞면 : 세종대왕, 일월오봉도, 용비어천가 (제2장) 뒷면 :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 보현산천문대천체망원경

    국내 5대 명산과 해, 달, 소나무를 그린 일월오봉도(조선시대 궁궐의 안왕이 앉는 자리 뒤에 두고 왕권을 상징하는 병풍 장식으로 사용) 뒷면에는 세종대왕 때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측정한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별들을 하늘의 12차 및 분야에 따라 그린 천문도)와 국내 최대 천체망원경(구경 1.8m.

    오천원 ( ₩5,000) 발행일 : 2006년 1월 2일 규격 : 142 x 68mm 앞면 : 율곡이이, 오죽헌 (몽룡실), 오죽 뒷면 : 초충도 (수박과 맨드라미)

    앞면에는 율곡이 태어난 곳, 오죽헌(몽룡실)과 오죽의 뒷면에는 율곡의 어머니 신사임당이 그렸다는 8폭병풍(신사임당 초충도무늬)에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천원 ( ₩ 1 , 000 ) 발행일 : 2007년 1월 22일 규격 : 136 x 68mm 전면 : 퇴계 이황, 명륜당, 매면 : 층상정차도

    성균관 유생들이 글을 배운 명륜당을 배경으로 퇴계 선생이 생전에 가장 아끼던 매화나무를 형상화하였으며, 뒷면 소재에는 도산서원의 주변 산수를 담은 겸재 정선의 계상정거도가 그려져 있다.

    ■ 오백원 ( ₩ 5 00 ) 동전

    최초발행일:1982년 6월 12일 직경:26.50mm 무게:7.70g 테두리톱니:120 개 재질:백동(Cu)75% + 니켈(Ni)25% 앞면:학, 액면문자 뒷면:액면숫자, 연도

    ■ 백원 ( ₩ 100 ) 동전

    최초 발행일 : 1972년 12월 01일 직경 : 24mm 무게 : 5.42g 테두리의 톱니 : 110개 재질 : 백동(Cu) 75% + 니켈(Ni) 25% 전면 : 충무공 이순신, 액면 문자 이면 : 액면 문자 : 액면

    ■ 오십원 ( ₩ 5 0 ) 동전

    최초 발행일:1972년 지름:21.6mm 무게:4.16g 틀니:109개 재질:양백합금 구리 70% + 아연 (Zn) 18% + 니켈 (Ni) 12% 앞면 : 벼 이삭 뒷면 : 액면 숫자, 연도

    ■ 십원 ( ₩ 10 ) 동전

    최초 발행일 : 1966년 8월 16일 지름 : 18.00mm 무게 : 1.22g 재질 : 구리를 씌운 알루미늄 구리 48% + 알루미늄(Al) 52% 앞면 : 다보탑 뒷면 : 액면 숫자, 연도

    최대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려고 여기저기 찾아보고 나름 정리...출처 : https://www.komsco.com/kor/contents/49https : // blog.ibk.co.kr/1255

    댓글

Designed by Tistory.